4일 오전 10시경(현지시간) 호르무즈 해협의 오만 인근 해역에서 한국 국적의 유조선 ‘한국케미’호가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나포한 경위에 대해 “해당 선박이 해양 환경 규제를 반복적으로 위반한 데 따른 것”이며 현재 “한국케미호는 남부 반다르아바스 항에 억류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케미의 선사인 디엠쉽핑 측은 "해양 오염을 할 이유는 전혀 없다"면서 이란 측이 제시한 나포 사유를 반박했다.

‘한국케미호’는 메탄올 등 3종류의 화학물질을 싣고 사우디아라비아 주발리에서 아랍에미리트(UAE)의 푸자이라로 향하던 중이었고 배에는 선장을 비롯해 한국 선원 5명, 미얀마인 11명, 인도네시아인 2명, 베트남인 2명 등 모두 20명이 승선하고 있었다.
미국 국무부 대변인 담화를 통해 “이란 정권은 국제사회의 제재 압력 완화를 얻어내려는 명백한 시도의 일환으로 페르시아만에서 항행의 권리와 자유를 계속 위협하고 있다”며 이란혁명수비대의 한국 국적 유조선의 즉시 억류해제를 요구했다.
우리 정부도 선박의 조기 억류 해제를 요구하는 한편 오만의 무스카트항 남쪽 해역에서 작전 중이던 청해부대 최영함을 호르무즈 해협 인근으로 긴급 출동시켰다.
특수전(UDT) 장병으로 구성된 검문검색대와 해상작전헬기(LYNX)를 운용하는 항공대 장병 등 300여명으로 구성된 청해부대 최영함은 5일 새벽(한국시간) 호르무즈해협 인군 해역에 도착해 임무에 돌입했다.